본문 바로가기
생활 상자

학생 예비군 신청 방법, 차이 등 총 정리

by 박스캣 2023. 11. 1.

안녕하세요. 박스캣입니다.

 

얼마 전, 군입대 기준이 높아졌다는 기사를 보며 정말 인구가 줄긴 줄었나 싶더라고요. 대한민국 남성이라면 대부분 군대에 갔다 오고 전역 후에는 예비군 훈련을 받아야 합니다. 예비군 동원 훈련은 1년에 1번 2박 3일로 진행이 되는데요. 특별한 경우에는 학생 예비군으로 신청하고 1년에 하루만 갔다 오는 것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학생 예비군 신청 방법과 차이점, 주의사항 등'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학생 예비군이란?
2. 학생 예비군 신청하는 방법

 

 

학생 예비군 차이, 신청 방법 등에 대해 알아봅시다.

 

 

1. 학생 예비군이란?

 

1) 적용 대상

 

학생 예비군은 1년 중 절반 이상이 대학생이나 대학원생의 신분인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단, 8학기 이수를 초과한 연차초과자초과학기를 듣는 대학생들은 해당이 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는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가져온 보류 방침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각급학교 학생 및 기간제 교사는 재학기간이 1개 학기 이상인 경우 180일 이상의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처리하며, 수업연한을 초과한 복수전공·부전공·연계전공자, 재수강자, 졸업유예(연기)자, 수료자, 유급자 등은 학생보류 대상에서 제외하여 지역예비군부대에 편성한다. 재학기간 중 1학기는 3.1~8.31, 2학기는 9.1~2월 말로 하며, 각 학교 학칙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1개 학기를 충족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분과 연차에 맞는 훈련에서 이수한 시간을 제외하여 실시한다. 다만, 각급학교 교사 중 기간제 교사는 근무기간을 합산하여 180일 이상 시 보류한다.

 

 

2) 차이점 및 주의사항

 

① 예비군 동원훈련은 기본적으로 1년에 1번 2박3일로 진행이 되지만, 학생 예비군의 경우 1년에 1번 하루의 훈련으로 끝이 나기 때문에 시간 절약이 가능합니다. 학생으로서 학업과 병행할 수 있다는 굉장히 큰 장점이 있죠.

 

② 1년 중 절반 이상을 학생 신분을 유지해야 하며, 8학기 이수를 초과한 자는 학생 예비군 신청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2. 학생 예비군 신청하는 방법

 

학생 예비군 신청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대학교에 예비군 관련 부서가 있다면 거기에 신고해도 되고, 주소지 주민센터에서 신고를 해도 되고,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신고를 하셔도 됩니다. 차근히 알아보겠습니다.

 

 

1)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신청하기

 

① 아래 바로가기를 클릭하여 예비군 홈페이지로 이동한 뒤, '보류 · 해소 → 보류 신청'순으로 클릭해주세요.

 

▶ 예비군 홈페이지 바로가기 클릭

 

학생 예비군 신청하기

 

 

2) 보류 신청 창이 뜨면 '인적사항, 보류기간, 보류사유'를 기재하고 재학증명서, 병역증명서를 첨부하여 주시면 됩니다. 모든 작성이 완료되면 '다음'을 눌러 그대로 진행하시면 마무리됩니다.

학생 예비군 신청하기

 

 

2) 학교에 예비군 관련 부서가 있는 경우

 

학교에 예비군 관련 부서가 있는 경우 대부분 전역 후 자동으로 편입이 됩니다. 관련 부서에 방문하여 편입이 되어있는지 확인하시고 편입이 되지 않으시면 신청하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서류는 재학증명서, 병역증명서입니다. 각 학교 홈페이지에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3) 학교에 예비군 관련 부서가 없는 경우

 

이 때는 자신의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담당부서에 가서 재학증명서, 병역증명서를 제출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서류 제출을 하지 않으면 예비군 읍/면/동대에서 보류자 처리를 못하기 때문에 반드시 제출하셔야 합니다.

 

 

 


이상으로 '학생 예비군 신청 방법과 차이점, 주의사항 등'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건강하고 안전하게 예비군 훈련받으시기 바라겠습니다. 작성한 포스팅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다음에는 더욱 알찬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학생 예비군 신청하기

반응형

댓글